카카오는 이달 23일 카카오톡 내 친구/채팅/숏폼 탭의 개편과 오픈AI와 협업 중인 AI 에이전트의 구체적인 UI/UX를 공개할 예정이다. 카카오톡 내에서 AI 검색 및 숏폼 등 콘텐츠를 채팅방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것이 기존 챗봇들과의 차별점이다.
AI 에이전트를 선점할 수 있는 조건은 매일 접속하는 대체불가능 플랫폼, 고성능 거대 언어 모델(LLM) 기반, 일상과 밀접한 다수 앱과 생태계 등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기업은 구글, 텐센트, 카카오 등이다.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이전트 점유율과 경쟁 구도의 윤곽이 드러나면 외부 쇼핑/예약/배달 등 개별 앱들은 잠재 고객 확보를 위해 MCP를 통해 에이전트에 연동할 것"이라며 "에이전트 선점은 신규 매출원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의 GMV를 흡수해 BM의 선택지가 많아지고 광고 단가도 크게 상승하는 전사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