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중갈등 리스크에 홍콩서 철수하는 해운사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06010002712

글자크기

닫기

홍선미 기자

승인 : 2025. 03. 06. 16:38

선박 등록, 20년간 400% 성장…2021년 이후 감소 추세
홍콩 정부, 수익세 감면·친환경 보조금 지급 등 인센티브
clip20250306163016
파나마 운하 발보아 항만 시설 전경./로이터 연합뉴스
글로벌 선사들이 미·중 갈등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홍콩에서 철수하거나 철수를 검토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6일(현지시간) 해운회사 임원 6명의 말을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이들은 미·중 갈등으로 중국 당국이 해운사의 배를 징발하거나 미국의 제재를 받을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자국 안보를 위해 홍콩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고, 마국은 대만을 둘러싼 군사적 충돌 가능성으로 중국의 상업용 선박에 대한 조사를 늘림에 따라 업계 전반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게 로이터통신의 설명이다.

앞서 미국 무역대표부는 지난 달 중국의 조선 및 해상 물류에 대한 '표적 지배(targeted dominance)'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해운 회사 및 중국 선박을 운항하는 회사들에 미국 항만 수수료를 부과할 것을 제안했다.

또 미국은 이미 지난해 9월 자국 기업들의 홍콩 사업 운영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홍콩은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선주와 이들을 지원하는 브로커, 금융가, 보험업자, 변호사들의 허브 역할을 해왔다. 홍콩의 해양 및 항만 산업은 2022년 국내총생산(GDP)의 4.2%를 차지했다.

영국 선박 가치 평가 기관 베셀스밸류(VesselsValue)에 따르면 홍콩 국기는 전 세계에서 8번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박의 깃발이다.

로이터는 홍콩에 정통한 해운사 임원, 보험사, 변호사 등 20여 명과 인터뷰한 결과, 미중 군사 충돌로 상업 해상 운항이 포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선박회사 임원은 "중국이 우리 선박을 문을 두드리고 반대편에서 미국이 우리를 노리는 상황에 놓이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베슬스밸류 자체 분석에 따르면 홍콩에 등록된 중국 선박 수는 4년 전인 2021년 2580척에서 올해 1월 2366척으로 8%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데이터도 비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홍콩을 떠난 선박 중 74척은 주로 석탄, 철광석, 곡물 등을 운송하는 벌크선으로 2023년과 2024년에 싱가포르와 마셜 제도에 등록했다.

홍콩 선박 등록은 지난 1997년 이후 20년 동안 약 400% 성장했다. 이 같은 성장 추세는 2021년 이후 일부 선박들이 근거지를 옮기며 감소 추세로 반전됐다.

로이터는 홍콩 정부가 지정학적 변화, 무역 환경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해운 회사가 홍콩 현지 운영을 재검토하는 것은 자연스럽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홍콩 정부 대변인은 "(홍콩이) 저명한 국제 해운 중심지로서 계속해서 탁월할 것"이라며 수익세 감면과 친환경 보조금 등 선주들을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설명했다.

대변인은 미·중 갈등 중 식민지 당시 작동했던 비상 권한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업계 관계자들의 우려에 대한 질문에는 자세한 설명을 거부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해당 비상 권한 조항은 시장 등 지도자가 선박과 재산을 통제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규제"를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한다.

한편 홍콩계 기업 CK 허치슨 홀딩스는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 사업 부문을 미국계 자산운용회사인 블랙록·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GIP)·TiL 그룹 컨소시엄(블랙록-TiL 컨소시엄)에 넘기기로 합의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연설에서 중국 통제 하에 있는 파나마 운하를 "되찾겠다"고 공언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보인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