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 생수 ‘NO 유해물질’ 마크 도입 속도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926010014935

글자크기

닫기

이수일 기자

승인 : 2024. 09. 26. 17:25

1
소비자가 생수를 살펴보고 있다./제공=연합
미세 플라스틱 등 유해물질이 생수 등에 포함됐다는 기사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9년 7월 열린 제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과학기술 기반 미세 플라스틱 문제대응 추진전략'의 후속 과제로 2022년 12월 미세 플라스틱 다부처 협의체를 출범했다.

환경부는 2026년까지 미세 플라스틱을 얼마나 섭취해도 안전한지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표준 절차'를 만들 계획이다.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정확한 분포실태를 파악하고 연구기반 확립 및 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분석 방법 정립 및 국가표준(KS) 제정 추진도 포함된다.

환경부가 먹는물 미세 플라스틱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내년까지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한 만큼, 표준 절차는 빨라야 내년에나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까지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아직 국제적으로 신뢰성과 통일성 있는 기준을 마련하기에 부족한 편이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이 같은 계획을 수립하게 된 배경엔 미세 플라스틱의 유해성이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과거부터 스트레스, 면역 체계 조절 장애, 혈중 지방 수치 등과 관련 있으며, 고혈압, 심혈관 질환, 당뇨 등 노년기 건강 문제와 직결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좀 더 정교한 관리 방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는 별개로 코웨이·청호나이스·한국암웨이 등 일부 기업들은 미세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지하고 '미세 플라스틱 제거성능 인증'을 적극 알리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는 환경부가 만들 계획인 '표준 절차'를 선제적으로 마련키로 했다. 생수에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됐다는 보도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어서다. 제주개발공사가 선보인 제주삼다수의 경우 2017년 미세 플라스틱 관련 검사를 환경부에서 진행했는데 '불검출'로 나온 상태다.

물론 신뢰성은 끝까지 유지돼야 할 것이다. 정부가 각고의 노력 끝에 NO 유해물질 관련 인증을 내놔도 시장에서 신뢰할 수 없다면 서둘러 보완해야 한다.

단적인 사례가 국가통합인증마크(KC 마크)다. KC 마크를 받았던 아기욕조에서 환경 호르몬이 기준치의 600배가 넘게 검출되고, 방사능 물질인 라돈이 방출돼 대규모 회수 사태가 발생된 KC 마크 침대 매트리스 등이 연이어 터져 나왔기 때문이다.

KC 마크 대상이 아닌 식품·건강기능식품 등의 경우 얼마나 많이 있을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철저한 노력을 이어온 대다수 식품·건기식 업체들이 부도덕한 일부 업체로 인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별도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소비자들은 이를 모두 기억하기 어렵다는 점도 있다.

정부가 없는 예산을 쪼개가며 노력하고 있다는 점은 칭찬할 만하다. 다만 올바른 방향만큼이나 속도도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소비자들이 좀 더 안전한 먹거리를 소비할 수 있도록 정부가 힘을 내야할 때다.
이수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