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AI 융합교육 의무화·과학고·영재고 중심 조기 육성
|
교육부는 16일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교육부 주관 6대 국정과제와 25개 실천과제를 최종 확정했다. 그중 핵심은△지역교육 혁신을 통한 지역 인재 양성('서울대 10개 만들기') △AI 디지털 시대 미래인재 양성이다.
우선 정부는 수도권 중심 대학 서열화를 완화하고 국가 균형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추진한다. 거점 국립대학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끌어올리고, 교육·연구 경쟁력을 집중 육성한다.
이 과정에서 탑티어 학문분야 교수를 선정하는 '국가석좌교수' 제도를 신설해 정년 제한을 예외 적용하고, 최고 수준의 연구 지원을 보장한다. 또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재구조화해 국립대와 사립대가 지역 산업과 연계,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열린 평생·직업교육 체계를 구축해 성인 학습자와 직업 현장 인력을 육성하고, 산·학·연 협력을 통한 대학생 취·창업 지원도 강화한다. 지역 특화 교육특구와 농산어촌 유학 지원 등 다양한 형태의 미래형 학교 모델도 마련된다.
AI 교육 강화도 이번 국정과제의 핵심이다. 교육부는 모든 초·중·고에서 체계적 AI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STEAM 교육을 내실화하고, 과학고·영재학교·직업계고를 중심으로 AI 인재를 조기 발굴한다.
대학 단계에서는 AI 융복합(AI+X) 교육과정을 확산하고, 산업 수요 기반 계약학과와 정원 확대, AI 부트캠프 운영 등으로 실무형 인재를 키운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AI 거점대학, BK21 AI 연구단 확대, 융합형 대학원 도입을 추진해 연구 경쟁력을 높인다.
또한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재교육을 확대하고 사이버대학 환경을 고도화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AI 교육을 지원한다.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해 정부초청장학생(GKS), 국제교류프로그램(CAMPUS Asia), K-STAR 비자·영주권 패스트트랙 제도도 확대된다.
정부는 AI 확산 속에서 인문학적 사고와 기초학문 역량을 병행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초·중·고 독서·인문교육을 강화하고, 대학 인문사회 장학생 지원을 확대해 AI로 대체할 수 없는 인간 고유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교육은 우리 아이들과 청년들의 행복한 성장과 배움을 든든하게 뒷받침하며,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교육 분야 국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정책 수요자인 교육 현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시도교육청, 대학, 국가교육위원회는 물론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