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대보다 ‘50대 많은’ 기업들…신규채용 줄고·퇴직 늦어진 영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5010001968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승인 : 2025. 08. 05. 11:17

자료=리더스엔덱스 / 그래픽 = 박종규 기자
경기 불황으로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줄이고, 고령화 영향으로 퇴직 시기가 늦어지면서 국내 기업의 50대 비중이 20대 비중보다 많아졌다는 통계가 나왔다.

5일 기업분석연구소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세대 역전' 현상이 최근 벌어지고 있다. 2022년부터 연령별 인력 구성이 비교 가능한 매출 기준 500대 기업(실제 조사 124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30세 미만 인력 비중은 전년보다 1.2%p 떨어진 19.8%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50세 이상 인력 비중은 0.6%포인트 증가한 20.1%였다. 50대 비중이 20대보다 0.3% 높게 나타난 수치다.

이 같은 결과는 조사가 시작된 2015년 이후 처음이다. 여기에다 30세 미만 인력 비중도 20% 아래로 떨어져 기업 인력의 고령화도 뚜렷해지는 양상이다. 최근 3년간 30세 미만 직원은 2022년 23만5923명(21.9%), 2023년 23만888명(21.0%), 2024년 22만1369명(19.8%)으로 계속 감소했다.

반대로 50세 이상은 2022년 20만6040명(19.1%), 2023년 21만4098명(19.5%), 2024년 22만4438명(20.1%)으로 늘었다.
지난 5월 27일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 중앙홀에서 열린 '2025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취업 상담을 하고 있다. /연합


연령대간 격차가 컸던 업종은 이차전지다. 최근 3년간 30세 미만 비중이 9.7%p(7789명) 줄었다. 50세 이상은 1.2%p(496명) 늘어 두 연령대간 격차는 10.9%p로 벌어졌다.

정보기술(IT)·전기전자 업종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30세 미만 비중이 5.4%p(1만5300명) 줄었고, 50세 이상은 3.1%p(6933명) 늘어 8.5%p 차이가 난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경기 둔화로 이차전지, IT를 포함한 대부분의 업종이 신입 채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고참 인력의 퇴직이 지연되며 기업 내 고령화가 가속화했다"며 "세대 간 비중이 뒤바뀌는 전환점에 도달한 것"이라고 밝혔다.

천현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