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 전무는 26일 아시아투데이가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제2회 K-산업비전포럼'에서 이 같이 밝혔다.
안 전무는 최근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환경에 대해 크게 불확실성·미국 정부과 기업의 직접 상대·경쟁체제로의 전환을 꼽았다.
안 전무는 "아직 관세가 나오지 않아 그런 불확실성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서도 동시에 "트럼프 2기 정부가 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들과 직접 상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또 "미국과 반도체를 두고 협력국가에서 이제 경쟁국가가 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는 반도체 관세로 투자 유치를 끌어낸다는 것이 확실하다"며 "그런 차원에서 관세가 아니더라도 지금까지의 투자를 유치해야 할 것 같고, 추가 투자 유치에 대한 요청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확실한 건 고객이 미국에 있기 때문에 (미국 측에서) 요청한 만큼이 아니더라도 해야 되는 것이 맞다"고 덧붙였다.
안 전무는 이어 "문제는 해외에 국내, 이렇게 분산투자를 해야 되는데, 지금의 기업 업황으로선 쉽지 않다"며 "공공에서의 재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술에서 경쟁력이 나온다. 그 기술 개발을 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게 상당히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각 국가들이 반도체를 자국화하는 체제를 만들고 있는데, 소부장은 우리가 취약한 부분"이라며 "해당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선 정부와 국회가 많이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AI 시대 등장에 따라 AI 반도체 주도권을 누가 확보하느냐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을 성장시키는 데 관건이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