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근로자의 약 33~36% 대체 가능"
|
카자흐스탄 일간 텡그리뉴스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노동부 산하 인구사회보호부는 '자동화 로봇 및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카자흐스탄 공화국 근로시장 영향평가 보고서'를 공개하며 AI 시스템이 도입되면 전체 근로시장에서 일자리 수백만개가 대체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공개된 보고서에서는 "카자흐스탄 공화국 내 일반적인 근로 분야를 423개 직종으로 분류하고 자동화 및 로봇화 그리고 생산적 인공지능(GAI)을 활용해 일반 근로자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조사를 2022년부터 수행해 왔다"며 "전체 일자리의 약 25%는 자동화돼 높은 가능성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전체 일자리의 약 12%는 GAI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자리 대체는 주로 높은 인구 밀집도를 나타내는 대도시 또는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시작될 것이고 전체 근로자의 약 33~36% 가능하다"면서 "특정한 상황에서 약 220만개에 달하는 일자리가 자동화로 대체될 수 있으며 GAI 대체 일자리는 100만개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특히 GAI 인력 대체는 카자흐스탄의 정보통신 및 금융의 중심지인 알마티에서 주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공개된 보고서는 카자흐스탄 당국이 부정부패 척결 방안으로 AI 도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보고된 정부 문서다.
카자흐스탄 당국은 작년 8월 교통정보시스템(CCTV)에 안면 인식 AI 기술을 전국적으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8일 알마티에서 개최된 카자흐스탄-중국 과학기술이전센터 개소식에서 카자흐스탄 대통령실 산하 국립과학아카데미와 저장이공대학이 AI 공동연구소 설립에 동의하는 양해각서에 서명하면서 중국과 AI개발에 착수하기로 합의했다.
카자흐스탄 의회는 AI와 관련해 완전자율 시스템의 개발 및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이 담긴 법안을 이달 발의했다.
이 법안을 발의한 예카테리나 스미슐랴예바 하원의원은 "카자흐스탄 영토에서 완전자율AI시스템 개발 및 유통을 금지하며 최종 결정단계에서 인간 관리자가 시스템 활동의 결정을 통제하는 반자율AI시스템만 허용 할 것"라고 강조했다.
그는 "AI로 발생한 물질적 피해에 대해 책임보험 적용을 인정하며 적용의 범위는 카자흐스탄 보험 관련 법에 따라 자발적으로 수행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