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률 낮고 연봉도 적어
집값 뛰며 내집 마련 포기
|
'취업 빙하기 세대'인 4050은 버블경제 시기 직후인 1993~2004년 사회에 진출해 취업난을 겪었다. 4050 인구는 2000만명을 넘고, 일본 전체 인구의 약 6분의 1에 해당한다.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현 4050세대의 대졸자 취업률은 1991년 졸업자와 비교해 5~26%p 낮았다.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수입이 정체됐다. 후생노동성의 자료에 따르면, 4050 초반의 연봉 증가율은 지난 10년간 다른 세대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총무성의 '국세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대의 미혼율 증가폭은 1.2~3.1%p에 그쳤지만 4050의 미혼율은 30년 전보다 10.3~21.5%p 증가했다. 결혼과 출산은 주택 구매의 주요 동기인데, 이런 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들이 많았다.
또 2013년 아베노믹스 정책이 본격화한 이후 주택 가격이 급등했다. 국토교통성의 부동산 가격 지수에 따르면, 현재 단독주택 가격은 2010년 평균 대비 약 16% 상승했으며, 아파트 가격은 2배 이상 올랐다.
최근의 물가 상승도 주택 구매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금융홍보중앙위원회가 2인 이상 세대 중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050의 43%가 "향후에도 주택을 구입할 생각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10년 전보다 약 20%p 증가한 수치다.
자가보유자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상환이 끝나면 노후 주거비 부담이 줄어들지만, 임대주택 거주자는 계속해서 월세를 부담해야 한다. 이 때문에 4050대의 자가보유율 감소 문제는 국토교통성 등 정부 기관에서도 이미 주목하고 있으며,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임금 인상이 점차 정착되고 있다. 이를 계기로 정부가 기존의 소득 지원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주택 확보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쓰이스미토모신탁은행 자산미래연구소의 마루오카 도모오 소장은 "일본은 오랫동안 자가보유 중심의 정책을 유지해 왔지만, 서구 일부 국가에서는 공공 임대주택에 대한 지원이 강력하다"며 "일본도 이런 사례를 참고해 도입 가능한 요소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