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호주 ‘반려동물 내장칩’ 관리업체 폐업에 수만마리 관리 차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2010006235

글자크기

닫기

이대원 시드니 통신원

승인 : 2025. 02. 12. 14:18

반려동물 데이터 검색엔진 '홈세이프아이디' 운영 중단
지역별 내장칩 관리 규정 차이…중앙시스템 필요성 대두
PEP20180914105001848_P2_20180914124806375
호주 멜버른에 있는 잔디밭에서 안내견들이 휴식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EPA 연합
아시아투데이 이대원 시드니 통신원 = 호주에서 반려동물 수만 마리의 내장형 마이크로칩 데이터를 관리하는 민간기업이 운영을 중단해 반려동물 관리에 차질이 발생했다고 호주 공영 ABC가 11일 보도했다.

호주는 1989년부터 본격적으로 반려동물에 내장칩을 이식해 왔으며 실종된 반려동물이 가족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일주일 동안의 정보를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 검색 엔진을 운영 중이다.

대부분 지역에서 고양이와 개에 대한 내장칩 이식을 의무화했으며, 5개의 민간기업과 2곳의 주정부가 반려동물 내장칩 등록소를 운영하고 있다.

현지 기업 홈세이프아이디(HomeSafeID)는 2009년부터 동물 병원 및 보호소에서 사용하는 내장칩의 정보를 관리해 오다 이달 운영을 중단했다. 이 회사에 등록된 수만 개의 정보를 더 이상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없다.

고양이 보호소 텐 라이브는 2017년부터 이 회사를 통해 고양이 약 9000마리의 내장칩 정보를 관리해 왔으나 운영을 중단한다고 하자 다른 기관에 정보를 새롭게 등록하기 위해 내장칩 1개당 12~15호주달라(약 1만1000~1만3000원)의 이전 비용을 지불했다.

전문가들은 반려동물 내장칩 데이터 관리를 각 지방정부가 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빅토리아주에서는 내장칩 등록을 주 농무부의 허가를 받은 기관에만 할 수 있고 관련 정보를 다른 주의 등록 기관에 이전하는 것을 법률로 금지했다.

이 때문에 반려동물의 내장칩 정보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는 중앙 시스템을 설립해야 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조성해 반려동물과 그 가족이 어디에 있든 내장칩 정보에 접근하도록 만들자는 견해다.

모든 데이터를 연방정부가 일률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식용 가축 데이터베이스는 운영하면서 반려동물 문제는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하기 때문에 관련 논의가 쉽게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이대원 시드니 통신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