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아시아투데이
  • 네이버
  • 네이버블로그
  • 유투브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오피니언

사설

칼럼·기고

기자의 눈

피플

정치

정치일반

대통령실

국회·정당

북한

외교

국방

정부

사회

사회일반

사건·사고

법원·검찰

교육·행정

노동·복지·환경

보건·의약

경제

경제일반

정책

금융·증권

산업

IT·과학

부동산

유통

중기·벤처

아투시티

종합

메트로

경기·인천

세종·충청

영남

호남

강원

제주

국제

세계일반

아시아·호주

북미

중남미

유럽

중동·아프리카

문화·스포츠

전체

방송

가요

영화

문화

종교

스포츠

여행

최신

지면보기

구독신청

First Edition

후원하기

제보24시

뉴스스탠드 네이버블로그 아투TV(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ENGLISH 中文 Tiếng Việt

  • 마켓파워 아투TV 대학동문골프최강전 글로벌리더스클럽

전체메뉴
아시아투데이20주년
오피니언 정치 사회 경제 아투시티 국제 문화·스포츠
2025년 9월 19일(금)

국제

세계일반 아시아·호주 북미 중남미 유럽 중동·아프리카

美 백악관 "트럼프,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의향 없어"

미국 백악관은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의향이 없는 입장임을 밝혔다고 뉴스맥스가 보도했다.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오는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했다고 발표한 것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듯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 될 것"이라며 "그들이 보상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어..

美 상원, '이스라엘에 무기 판매 중단' 결의안 부결

가자지구 민간인 피해를 이유로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판매를 중단하려는 두 건의 결의안이 30일(현지시간) 미 상원에서 부결됐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다만 이전보다 찬성표가 늘어나면서 논의가 점차 확산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로이터에 따르면 이번 결의안은 민주당과 협력하는 무소속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이 발의했으며, 표결 결과는 각각 찬성 24 대 반대 73, 찬성 27 대 반대 70이었다. 지난 4월 샌더스 의원이 발의했던 유사..

트럼프 면담서 전격 합의 한미 무역협상 구체적 내용, 협상 전략과 내막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한·미 조선 협력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한·미 무역협상 타결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아울러 미국이 한국산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예고한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하면서 약속한 한국의 대(對)미국 투자 3500억달러(488조원) 가운데 1500억달러(209조원)는 한국 주도의 '마스가' 프로..

해리스,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 출마 포기…차기 대권 도전 가능성

카멀라 해리스 전 미국 부통령이 내년에 열리는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혀 그의 차기 대권 도전 가능성이 열렸다.해리스 전 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당분간 내 리더십과 공직 활동은 선출을 통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다시 국민 곁으로 다가가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전국에서 두려움 없이 싸울 민주당 후보들이 당선될 수 있도록 도우면서 내 계획에 관해서는 향후 몇 달 안에 자세한 내용을 공유할 예정"이..

구윤철 부총리 "한미조선협력 마스가, 무역협상 타결에 큰 기여"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한·미 무역협상 타결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한·미 무역협상의 한국 측 수석대표였던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 D.C.의 한국대사관에서 진행한 한국 특파원 대상 브리핑에서 "오늘 합의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1500억달러(209조원) 규모의 한·미..

트럼프, 러 향해 "우크라 휴전 다음달 8일까지 동의 않으면 제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휴전에 동의하지 않고 있는 러시아를 향해 다음달 8일까지 협상 진전이 없으면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미국이 예고한 대러 관세는 100%, 러시아산 군사 장비와 가스 및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도 '세컨더리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세컨더리 관세 부과국으로는 중국과 인도 등이 속한다.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에어포스원에 탑승해 '오늘부터 10일'이..

캐나다, 9월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선언…佛·英 이어 세번째

캐나다가 오는 9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이라고 30일(현지시간) 선언했다. 이같은 입장을 밝힌 국가는 프랑스, 영국에 이어 캐나다가 세번째다.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캐나다 온다리오주 오타와에 있는 국립언론극장에서 내각 회의 후 기자회견을 열어 이를 발표했다고 CNN이 보도했다.아니타 아난드 캐나다 외교부 장관과 함께 단상에 오른 그는 "캐나다는 오랫동안 두 국가 해법, 즉 독립적이고 실행 가능하며 주권을 가진 팔레스타인이 이스..

미 상무장관 "한국 기업들 대미투자, 이재명-트럼프 백악관 회담 때 발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이날 타결된 한·미 무역 합의와 관련,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하기 위해 2주 이내에 백악관을 방문할 때 한국 기업들이 대규모 대(對)미국 투자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러트닉 장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과의 무역협상 타결을 발표한 뒤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전했다.발표 자리에는 이번 무역 합의를 측면..

"캐나다-미국 관세 협상, 마감 시한까지 합의 불발 가능성"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0일(현지시간)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8월 1일 마감 시한 전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고 밝혔다.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캐나다에 적합한 합의를 찾기 위해 고위급 인사들이 워싱턴에 파견돼 있다"며 "(협상이) 8월 1일까지 마무리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지켜보겠다"고 말했다.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1일을 관세 협상의 '데드라인(마감 시한)'이라고 못 박..

뉴욕증시 혼조세…나스닥만 소폭 상승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30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71포인트(0.38%) 하락한 4만4461.28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94포인트(0.12%) 내린 6362.92에 각각 마감했다.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홀로 31.38포인트(0.15%) 상승하며 2만1129.67에 장을 마쳤다. 장 마감 직전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 실적에 대..

미,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 면세 제도 폐지...최대 200달러 관세

미국이 다음달 29일부터 해외로부터 배송되는 800달러(111만6000원) 이하의 '소액 소포(de minimis)'에도 관세를 부과한다.미국 백악관은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 명령에 따라 미국으로 발송되는 800달러 이하의 소포에 대해 8월 29일부터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국제 우편망을 통해 반입되는 상품은 원산지 국가에 적용되는 유효 관세율에 따라 각 소포의 가액에 비례하는 종가세(ad valorem dut..

트럼프 "한국 상호관세 25%→15%…2주내 李대통령과 정상회담"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미국이 한국과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국이 1000억 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할 것"이며, "더 나아가 투자 목적..

트럼프 "한국산에 15% 관세 부과 합의...이재명 대통령 2주 내 방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한국산에 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무역협상을 타결했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2주 내 백악관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등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을 만난 뒤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이 한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협정에 합의했다"며 "우리는 한국..

미, 구리 반제품·파생제품에 50% 관세...원재료 제외, 칠레·페루 안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구리에 대한 50% 관세가 구리로 만든 반제품과 파생 제품에 적용되고, 구리 광석 등 원재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수입 구리에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했다면서 관세 적용 품목 등을 안내하는 팩트 시트를 공개했다.트럼프 대통령은 포고문에서 자신의 지시에 따라 추가 관세 부과 여부를 검토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구리가 미국의 국가·경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 트럼프 면담 위해 백악관 도착..한미 무역협상 타결 임박 신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한국의 무역 협상 대표단과 만나 25% 상호관세 인하를 위한 한국 정부의 제안을 들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한·미 무역협상 타결이 임박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오늘 오후(한국시간 31일 이른 아침)에 한국 무역 대표단과 만날 예정"이라며 "한국은 현재 25%의 관세가 책정돼 있지만, 그들은 그 관세를 인하하기 위한 제안을 가지고 왔고, 나는..

미 연준, 5회 연속 금리동결...연준 이사 2명, 22년만 금리 결정에 반대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또 동결했다.연준은 이날까지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공개한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FOMC에서 위원 12명 중 제롬 파월 의장을 포함해 9명이 금리 동결에 찬성했고, 미셸 보먼(연준 부의장)·크리스토퍼 월러(연준 이사) 위원은 0.25% 포인트 인하를 주장했으며 아드리아나 쿠글러 위원은 불참했다. 만장일치로 금..

트럼프 "인도에 25% 관세 부과...러 무기 구매 페널티도 함께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에 다음달 1일(현지시간)부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30일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인도가 미국의 오랜 우방이지만, 수십 년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와 어떤 국가보다도 가장 엄격하고 번거로운 비관세 무역 장벽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거래(business)를 해왔다고 지적했다.이어 "그들은 군사 장비 대부분을 러시아로부터 구매해 왔고,..

2분기 미 경제 성장률 3.0% ↑, 1분기 -0.5%서 반등...트럼프 "금리 지금 내려야"

올해 1분기(1~3월) -0.5%로 역성장했던 미국 경제가 2분기(4~6월)에 3.0%(전기 대비 연율)로 성장세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2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 3.0%로 집계됐다고 미국 상무부가 30일(현지시간) 밝혔다.이는 2% 초반대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을 크게 웃돌고,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3% 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2분기 미 경제 성장률 3.0% 성장, 1분기 -0.5%서 반등.....

관세로 인한 가격인상 美 국민들이 부담…가계당 연간 330만 원 손실

미국이 주요 교역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해 가는 가운데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청구서가 미국 소비자들에게 전달됐다고 로이터 통신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워싱턴형평성장센터(Washington Center for Equitable Growth)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는 미국 제조 업체들의 공장 제조 원가가 약 2%에서 4.5%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크리스 뱅거트-드라운스 연구원은 관세 정책으로..

'관세 부과 임박' 美 주요 교역국들, 무역 협상 총력전

미국 행정부가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전면 부과하기로 한 8월 1일이 임박한 가운데 주요 교역국들은 그 전에 관세율을 조금이라도 더 인하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미국의 일부 무역 파트너들은 광범위한 무역 전쟁으로 확대될 수 있는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마지막까지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한국은 최근 일본이 미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하면서 마음이 더 급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에 대한..

previous block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block

많이 본 뉴스

[현장] 미국 관세전쟁 현대기아차, 현지화와 39년 전미..

트럼프, 4억달러 대만 군사지원 보류…“중국과의 협상 의..

틱톡 관련 허가 법에 따라 승인할 것, 中 강조

뉴욕증시, 금리인하 하루만에 3대지수 최고 마감…美 고용..

美 국방부, NBC 보도에 “명백한 가짜뉴스” 반박

日軍 생체실험 고발 中 영화 ‘731’ 최고 흥행 예감

트럼프 “찰리 커크는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

회사소개 광고안내 신문구독 채용
윤리강령 고충처리 저작권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사이트맵
아시아투데이

등록번호 : 서울 아00160  |  등록일 : 2006년 1월 18일   |   제호 : 아시아투데이   |   회장·발행인·편집인 : 우종순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1길 34 인영빌딩  |   발행일자 : 2005년 11월 11일   |  대표전화 : 02) 769-50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성희제

아시아투데이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재 및 수집, 복사, 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by ASIATODAY Co., Ltd. All Rights Reserved.

아시아투데이는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 네이버뉴스스탠드
  • 네이버블로그
  • 유투브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