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김정은, ‘금성’ 자폭무인기 첫 공개…‘AI 접목’ 강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9010010763

글자크기

닫기

정채현 기자

승인 : 2025. 09. 19. 10:56

북한 김정은, 전술무인공격기 성능시험 지도<YONHAP NO-2156>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들의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연합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성' 계열의 자폭 무인공격기를 성능 시험하고 전투 능력을 과시했다. 북한이 '금성'이라는 전술무인공격기의 계열명과 형태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

김 위원장은 전략 및 전술무인정찰기, 다목적 무인기들을 비롯한 각종 무인무장장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요해(파악)했다.

통신은 "이날 진행된 시험에서는 무인전략정찰기의 군사 전략적 가치와 혁신적인 성능 그리고 '금성' 계열 전술무인공격기들의 우수한 전투적 효과성이 뚜렷이 입증되었다"며 김 위원장이 시험 결과에 크게 만족했다고 전했다.

북한 김정은, 전술무인공격기 성능시험 지도<YONHAP NO-215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들의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연합
북한 김정은, 전술무인공격기 성능시험 지도<YONHAP NO-2155>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들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들의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연합
이날 통신이 공개한 성능시험 사진에는 두 종류의 자폭형 무인공격기가 목표물을 타격해 폭발하는 모습이 담겼다. 가오리형 날개 기종은 이스라엘제 자폭형 무인공격기 '하롭(HAROP)'과, 십자형 날개 기종은 러시아제 '란쳇(Lancet)-3' 또는 이스라엘 '히어로(HERO) 30'과 각각 외형이 비슷하다.

북한은 지난해 8월과 11월, 올해 3월에도 이들 기종의 자폭형 무인공격기 성능시험을 시행한 바 있다. 당시 보도에선 무인공격기를 백색 계열로 도색하고 모자이크 처리해 형체를 제대로 알아볼 수 없도록 했지만, 이번엔 모자이크 처리를 하지 않고 '금성'이라는 계열명도 공개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존 공개시에는 색깔이 흰색(실험용)이었는데, 오늘은 위장색이 입혀져 사실상 실전용화되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이번 참관 과정에서 무인기에 대한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는 "현대전에서 무인장비들의 이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주되는 군사활동 자산으로 등장하고 있는 현실은 이 분야의 핵심기술 고도화와 무인무장장비 체계들의 인공지능 및 작전능력 고도화를 우리 무력 현대화 건설에서의 최우선적인 중요 과제로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새로 도입 중인 인공지능 기술을 급속히 발전시키는데 '선차적인 힘'을 쏟으라며 "무인기들의 계열생산능력을 확대 강화하는 데서 나서는 대책적 문제들"을 주문했다.

이날 성능시험에는 북한판 '글로벌호크'로 불리는 전략무인정찰기 '샛별-4형'도 등장했다. 북한은 앞서 무장장비전시회와 열병식 등을 통해 '샛별-4형'과 함께 '북한판 리퍼'라 불리는 무인공격기 '샛별-9형'을 공개해 왔다.

북한이 이 같은 무인공격기 및 AI기술 도입을 강조한 것은 내년 초 개최 예정인 9차 당대회를 앞두고 군사·경제분야 성과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홍 연구위원은 이날 시험 공개 의도에 대해 "19일까지 진행하는 한미연합훈련을 의식한 위력과시용 개념도 있다"며 "적의 활동을 정찰하고 주요 레이더 기지나 방공기지를 공격한다는 함의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성능시험 지도에는 리병철 당 중앙위원회 군수정책담당 총고문을 비롯한 당 간부들과 국방과학 연구 부문 관계자들이 수행했다.
정채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