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으로 아쉬워… 다시 달리겠다"
2m36 넘은 라이벌 '해미시 커' 우승
|
우상혁은 16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선서 2m34를 넘어 2위를 차지했다. 우승은 2m36을 넘은 2024 파리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해미시 커(뉴질랜드)의 몫이었다. 얀 스테펠라(체코)가 2m31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우상혁은 13명이 겨룬 결선에서 2m20과 2m24를 1차 시기 만에 넘었다. 2m28과 2m31은 2차 시기 만에 성공했다. 바의 높이를 2m34로 올린 우상혁은 1, 2차 시기를 모두 실패했다. 그 사이 경쟁자들도 이 구간을 넘지 못하며 줄줄이 탈락했다. 하지만 우상혁은 도약 전 "할 수 있다"를 외치며 특유의 미소를 짓더니 3차 시기에서 결국 바를 뛰어 넘었다.
커도 3차 시기에서 같은 높이를 뛰어넘으며 둘의 금메달 경쟁 레이스가 시작됐다. 우상혁이 2m36을 1차 시기에서 실패한 반면 커는 1차 시기에서 바를 넘었다. 금메달이 목표였던 우상혁은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바의 높이를 2m38로 높인 우상혁은 2, 3차 시기에서 모두 실패하며 금메달을 커에게 넘겨줬다.
우상혁은 실내 세계선수권인 2022년 베오그라그(2m34)와 올해 난징(2m31)에서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실외 세계선수권에서는 2022년 유진 대회에서 은메달(2m35)을 따며 이번 대회에서 실외 대회 최초 금메달을 노렸다. 실외 대회 은메달 두 개도 엄청난 성과지만 한국 육상 첫 실외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놓쳐 아쉬움을 삼켰다.
우상혁은 이번 도쿄 대회에 앞서 출전한 7개의 국제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면서 상승세를 탄 만큼 이번 대회 금메달 유력 후보였다. 커와의 맞대결에서도 4전 전승을 거두며 기대감을 키웠다. 하지만 올해 출전 마지막 국제대회인 도쿄 세계선수권에선 간발의 차로 커에게 1위 자리를 내줬다.
우상혁은 실내 시즌 3개 대회(2월 9일 체코 실내대회 2m31, 2월 19일 슬로바키아 실내대회 2m28, 3월 21일 난징 세계실내선수권 2m31)에서 1위를 차지했다. 실외 시즌에서도 4개 대회(5월 10일 왓 그래비티 챌린지 2m29, 5월 29일 구미 아시아선수권 2m29, 6월 7일 로마 다이아몬드리그 2m32, 7월 12일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2m34)에서 우승했다.
이날까지 한국이 세계육상선수권에서 획득한 총 메달 수는 3개(은 2개, 동 1개)다. 우상혁의 은메달 2개와 경보 김현섭의 동메달 1개다. 2011년 대구 대회 남자 20㎞ 경보에서 김현섭은 당시 6위를 기록했지만 앞선 기록 선수들의 금지약물 복용이 밝혀지면서 2019년 8월 '대구 세계선수권 3위'로 인정됐다.
이제 우상혁의 눈은 내년 일본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과 2028년 LA올림픽을 향한다. 아시안게임에서 2연속 은메달을 딴 우상혁은 금메달을 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시안게임 후 2027년 베이징 세계선수권에서 다시 왕좌를 노리고, 최종 목표인 LA 올림픽을 향해 전진한다.
우상혁은 대회 후 대한육상연맹에 "금메달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부상이 있었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은 있다"면서 "많은 분들이 응원해주셔서 은메달을 딸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오늘의 성과는 오늘까지만 만족하고 내일부터 다시 열심히 달리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