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금융감독개편 후폭풍…뿔난 금감원 직원 ‘검은 옷 반대 시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9010005046

글자크기

닫기

유수정 기자 | 박주연 기자

승인 : 2025. 09. 09. 18:03

"금소원 분리·공공기관 지정 철회하라"
노조 측 저지 요청에도…이찬진 원장 '침묵'
금감원 시위
윤태완 금융감독원 노동조합 부위원장(왼쪽)이 9일 금감원 사옥에서 열린 '금융감독 조직개편 관련 반대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정보섭 노조 수석부위원장(오른쪽에서 두 번째) 등 직원 600여명은 시위에 동참해 개편안에 반대하는 의견을 냈다. /유수정 기자
금융감독원에서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분리하는 정부 조직개편안에 반대의 목소리를 내온 금감원 직원들이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집단행동에 나섰다. 사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파업 등 공식적인 쟁의 행위까지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직원들은 이찬진 금감원장을 향해 조직개편을 저지해 줄 것을 촉구했지만, 이 원장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 노조를 포함한 직원 60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금융감독 조직개편 관련 반대시위'를 열었다. 상복을 연상케 하는 검은색 의상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금융소비자보호원 분리 철회', '공공기관 지정 철회', '비대위 구성' 등의 내용이 적힌 피켓을 들어 올리며 "이번 조직개편안은 소비자보호에 역행하는 조치"라고 호소했다.

정보섭 노조 수석부위원장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역행하는 금소원 분리를 철회해야 한다"며 "이는 금감원 직원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 금융소비자를 위한 조치"라고 소리 높였다. 금융회사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보호 기능은 유기적으로 연계돼야만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데, 이를 기계적으로 분리할 경우 오히려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다.

세부적으로 감독 기능 간 충돌, 감독·검사와 소비자보호 업무가 연계된 원스톱 서비스 붕괴, 검사·제재 중복 등의 문제 발생 가능성을 염려했다. 이 같은 이유로 금소원의 별도 신설이 소비자의 실질적인 권익을 보다 약화시킬 것이란 주장이다.

정 부위원장은 16년 만에 추진되는 공공기관 재지정과 관련해서도 "감독기관의 독립성이 사라질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비쳤다. 앞서 금감원은 2007년 기타 공공기관에 지정됐지만, 감독업무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2년 뒤인 2009년 해체된 바 있다. 그는 "금감원이 공공기관으로 지정되면 정치적 입김과 외부 압력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정권의 이해관계에 좌우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노조 측은 이세훈 수석부원장의 발언과 관련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전날 이 수석부원장은 조직개편안과 관련한 임직원 대상 긴급 설명회 자리에서 "민주적 절차를 거쳐 선출된 권력이 결정한 바에 기관이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펼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기관의 입장과 개별적 이해 의사는 같이 갈 수 없음을 분명히 한다"고 말해 임직원들의 불신을 키운 바 있다.

이 원장은 아침 출근길에 노조의 시위 현장을 마주했지만, 노조의 요청과 기자들의 질문에도 침묵을 지키며 집무실로 향했다. 노조는 이날 오후 열린 전 금융권 간담회 자리에서도 저지 요청을 이어갔지만, 이 원장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한편 금융위원회 내부에서도 정부의 조직개편을 둘러싼 불만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전날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열린 설명회에서 직원들은 "구성원들의 의견 청취 없이 추진된 조직개편은 문제가 있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특히 금융정책 업무가 재정경제부로 이관되는 점과 관련해, 향후 인력 배분 문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태다. 뒤숭숭한 분위기 탓에 직원들의 의욕 역시 저하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수정 기자
박주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