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우리 사회의 제일 큰 과제가 포용과 통합이라고 할 수 있는데, 노동자와 사용자 측이 정말 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기업인들은 이 대통령을 '친노동'이라고 비판하고, 노동자들은 '친기업'이라고 비판한다는 점을 언급하며 "제가 편이 어디 있겠나. 모두 잘 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명(한국노총) 위원장과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을 초청해 오찬을 나누며 "양쪽(사용자, 노동자)을 다 보면서 드는 느낌은 참 우리 사회가 불신도 많고, 소통도 안 하고, 대화가 부족하구나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새정부 들어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꾸려지지 않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결론이 안 나도 싸우는 것까지 좋은데, 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결론을 내든지 말든지 해야지 아예 왜 안 보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일단 대화를 해서 오해를 풀고 어쩌면 있을지도 모르는, 있었다면 적대감 같은 것도 해소해야 한다"며 "진지하게 팩트에 기반해서 입장 조정을 위한 토론을 많이 해야한다. 자주 봐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제가 기업인들에게 노동자에 대한 배려 없이 어떻게 기업이 존재하겠냐고 자주 말한다"며 "노조법 개정으로 사용자 측이 너무 부당하게, 불리하게 된 거 아니냐는 걱정들을 하는데 제가 보기엔 그럴 일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이어 "법원에서 인정하는 것을 입법화한 것 뿐인데 그런 게 있냐, 이렇게 설명을 열심히 하고 있지만 잘 안 믿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저는 기업인한테 가면 친노동이라고 욕먹고, 노동자들이 보면 옛날에는 노동자 편이었는데 요즘은 아닌 거 같아 이런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며 "제가 요즘 산재, 체불임금 이런 얘기를 좀 많이 했더니 나보고 너무 노동 편향적이라고 주장하는 데가 있던데, 저는 전혀 그렇게 생각 안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누구의 편 이야기를 하기 이전에, 기본적 인권에 관한 문제, 기본적인 상식과 도리에 관한 문제"라며 "임금 체불 문제든, 산재 문제든 목숨과 삶에 관한 기본인데 그걸 가지고 친노동이니 친기업이니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