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미 관세협상 결과를 공개하면서 "2주 내로 이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가에선 이르면 광복절 전에 정상회담이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관건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방위로 펼치는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압박'을 얼마나 막아내느냐다. 정상회담 테이블에 '구체적인 액수'를 올릴 가능성도 열려 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은 1000억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한국의 투자 목적을 위해 큰 액수의 돈을 투자한다는 데 합의했다"면서 "이 액수는 향후 2주 내로 한국의 이 대통령이 양자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미정상회담 핵심 이슈는 안보가 될 전망이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국내총생산(GDP) 5% 수준의 국방비 증액과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미중 간 패권경쟁이 벌어지는 와중에 '굳건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해야 하는 것도 과제로 꼽힌다. 앞서 백악관이 6·3대선 직후 이 대통령의 당선 축하 논평에서 이례적으로 "중국의 영향력 행사에 우려하며 반대한다"고 밝혀 새 정부를 향한 '동맹의 의구심'이란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