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미 관세 타결] 李·트럼프, 2주 내 정상회담… ‘MAGA 압박’ 방어 시험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1010018658

글자크기

닫기

이충재 기자

승인 : 2025. 07. 31. 18:04

'對美투자·안보·동맹' 테이블 오를듯
한미 관세협상이 31일 15%로 전격 타결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6차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행사에서 국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로이터 연합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두 달여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나선다. 이 대통령은 31일 한미 관세협상의 고비를 넘자마자 안보와 경제가 맞물린 정상외교에 직접 등판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미 정상이 마주앉는 테이블에는 관세협상 후속으로 진행될 구체적인 대미투자 규모와 대상은 물론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등 외교·안보관련 사안들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31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미 관세협상 결과를 공개하면서 "2주 내로 이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가에선 이르면 광복절 전에 정상회담이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관건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방위로 펼치는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압박'을 얼마나 막아내느냐다. 정상회담 테이블에 '구체적인 액수'를 올릴 가능성도 열려 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은 1000억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한국의 투자 목적을 위해 큰 액수의 돈을 투자한다는 데 합의했다"면서 "이 액수는 향후 2주 내로 한국의 이 대통령이 양자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미정상회담 핵심 이슈는 안보가 될 전망이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국내총생산(GDP) 5% 수준의 국방비 증액과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미중 간 패권경쟁이 벌어지는 와중에 '굳건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해야 하는 것도 과제로 꼽힌다. 앞서 백악관이 6·3대선 직후 이 대통령의 당선 축하 논평에서 이례적으로 "중국의 영향력 행사에 우려하며 반대한다"고 밝혀 새 정부를 향한 '동맹의 의구심'이란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이충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