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중 104%·한 25% 관세 발효...세계 경제 침체 가능성 급등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9010004974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4. 09. 08:27

미 상호관세 9일 오후 1시 발효
한국 25%·중국 104%·EU 20%·일본 24%·인도 26%·대만 32%
미, 한·일과 무역협상...한·일·중, 대미 관세 공조 약화 결과
미 상호 관세 유지시, 세계 경제 침체 가능성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교역국에 대한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각국에 대한 관세율이 적힌 차트를 들어 보이고 있다./AP·연합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보복 관세 조치를 취한 중국에 총 104%의 관세를 9일 오전 0시 1분(미국 동부시간·한국시간 오후 1시 1분)부터 부과한다.

한국(25%)·유럽연합(20%)·일본(24%)·인도(26%)·대만(32%)·베트남(46%)·캄보디아(49%) 등에 대한 상호 관세도 같은 시각에 발효된다.

VIETNAM-SPAIN/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가운데)가 9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北京)의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에서 산책하고 있다./로이터·연
◇ 한국 25%·중국 104%·EU 20%·일본 24%·인도 26%·대만 32%, 미 상호관세 9일 오후 1시 발효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8일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50% 추가 대중 관세도 내일부터 시행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9일 0시1분에 발효된다"고 답했다. 이어 "보복 조치를 하는 것은 중국의 실수"라면서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 그것이 104%의 관세가 시행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레빗 대변인은 중국이 원한다면 협상할 것이라는 원칙론도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 후 중국에 대해 10%씩 두차례에 걸쳐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2일 국가·지역별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중국에 대해 34%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중국이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해당 조치를 철회하지 않으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위협했다.

하지만 중국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50% 추가 관세 위협에 대해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맞대응을 예고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총 104%의 관세 부과가 현실이 됐다.

USA-TRUMP/TARIFFS-CHINA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 29일 주요 20개국 정상회의가 열린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진행된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나눈 후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로이터·연합
◇ 중국 104% 관세 부과 트럼프 행정부, 한·일과 무역 협상 시작...한·일·중, 대미 관세 공조 약화 결과

이러한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날부터 주요 동맹국이면서 큰 규모의 교역국인 한국·일본과 무역협상을 시작하는 것과 맞물려 주목된다.

정교하고 치밀하게 의도된 것은 아닐 수 있으나 이러한 상황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를 전후해 한·일·중이 외교장관 및 경제통상장관 회의를 연달아 개최하면서 반미 무역 전선을 형성하려 한다는 미국 조야의 우려가 강해지는 것과 맞물려 주목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미국 CNN방송 인터뷰에서 일본·중국 등과 협력해 미국의 관세에 대응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부인했다. 한 권한대행은 "그런 식의 반격이 상황을 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우리는 그 길을 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통상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과 무토 요지(武藤容治) 일본 경제산업상(왼쪽)·왕원타오(王文濤) 중국 상무부장이 3월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연합
◇ 인도·베트남·캄보디아 등 대미 관세 개선 움직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대부분 국가가 보복 조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했고, 실제 대부분의 나라는 유화책을 내놓고 있다.

인도는 관세 철폐와 규제 재검토를 포함한 양국 간 무역협정 체결을 위해 협상에 들어갔으며, 베트남은 미국산에 대한 관세를 전면 철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전했다.

캄보디아는 4일 35%를 부과하고 있는 위스키 등 19개 품목에 대한 관세를 5%로 낮출 것이라고 미국 측에 통보했다.

US-TRADE-TARIFFS
8일(현지시간) 찍은 미국 뉴저지주 바욘의 한 대형 쇼핑점./AFP·연합
◇ 미 상호 관세 유지시, 세계 경제 침체 가능성 급등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현행대로 유지될 경우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커진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세계 상품 교역량은 올해 1%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존 3% 성장에서 4%포인트 하향 조정한 것이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올해 세계 경제가 경기 침체에 진입할 확률을 기존 40%에서 60%로 상향 조정했다. 특히 미국은 올해 3·4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해 경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JP모건체이스는 전망했다.

'무역 정책 불확실성 지수'도 3월 현재 5700을 넘어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인 2019년 8월 최고점의 거의 3배를 기록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이 지수가 높아지면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어디에 둘지를 결정하지 못해 설비 투자와 채용을 억제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가펜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보호무역주의와 불확실성은 기업의 지출과 고용을 미루거나, 줄일 수 있어 잠재적인 경기 침체 진입 경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