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끔찍한 수치”…베트남, 美 46% 초고율 관세 ‘충격’ 정부 긴급회의 소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3010002133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5. 04. 03. 14:20

Trump <YONHAP NO-1393> (AP)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운 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AP 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국가 상호관세 부과 발표와 함께 세계 최고수준의 관세율을 적용받은 베트남이 충격에 빠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전격 발표하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은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율을 부과했다. 캄보디아(49%), 라오스(48%) 등 인도차이나 이웃 국가들과 함께 초고율 관세를 적용받은 셈이다. 이웃인 태국 역시 36%의 고율 관세를 부과받았다.

이번 조치로 미국에선 5일 0시 1분(미국 동부시각·한국 5일 오후 1시1분)부터 모든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10%의 관세, 9일 0시 1분(미국 동부시각·한국 9일 오후 1시 1분)에는 상호관세가 발효된다.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의 관세 조치에 베트남은 말 그대로 '비상'이 걸렸다. 3일(현지시간) 아시아투데이 취재에 따르면 베트남 주요 기관과 기업들은 긴급회의를 소집해 대응 마련에 나섰다.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도 이날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베트남상공회의소(VCCI) 관계자는 "캄보디아·라오스 등 베트남보다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은 나라도 있지만 실제 미국 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태국(36%)·인도네시아(32%)·인도(26%)·필리핀(17%) 등은 더 낮은 관세를 부과받았다"며 "주요 경쟁국에 비해 베트남이 10~20%포인트 더 높은 세율을 적용 받는 셈이다.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고 전자·섬유·목재·신발 등 베트남의 주력 수출 품목에 큰 타격이 될 수도 있다"고 짚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대미수출액(1190억 달러·174조 6682억원)을 기준으로 다시 계산하면 547억 4000만달러(약 80조 2997억원)에 달하는 관세를 부담하게 되는데 이는 베트남 국내총생산(GDP)의 10% 이상에 달한다"며 "매우 좋지 않다"고 덧붙였다.

베트남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은 46%에 달하는 이번 세율이 "끔찍하다"며 당혹감과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 '예상'은 했지만 예상을 뛰어 넘은 '충격'으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현지 업계에선 무엇보다도 베트남에게 적용된 초고율 관세로 인도·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과의 경쟁에서 경쟁 우위를 상실하게 된다는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다.

베트남 정부와 당에서는 무엇보다도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관세가 그간 베트남의 성장을 견인해 온 외국인투자에도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베트남은 트럼프 1기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가장 큰 수혜를 본 국가로 꼽힌다. 당시 미국이 중국에 부과했던 관세장벽을 피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부터 미국의 애플·인텔·나이키 등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세계적 기업들의 공급망 이전이 이어지며 베트남 경제도 이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베트남에 부과될 46%의 초고율 관세는 이런 베트남의 '장점'을 상쇄해버리다 못해 오히려 타격을 안길 수 있다. 이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과거 중국을 떠났듯, 베트남에서도 빠져나갈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것이다.

베트남은 올해 GDP 성장률 목표를 8% 이상으로 잡고 있다. 당초 6.5~7% 목표였던 것을 수출과 수입이 증가하고 외국인직접투자(FDI)도 증가할 것이라 전망하며 새롭게 상향 조정한 수치다. 내년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만큼 좋은 '경제성적표'를 받아야 하는 현 지도부로선 난처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오는 6일 미국을 방문하는 호 득 퍽 베트남 부총리의 어깨도 더욱 무거워지게 됐다.

베트남에 대거 진출한 한국기업들 역시 이번 조치로 베트남 외 공급망의 생산 조정을 검토하는 등 득실계산에 나섰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본지에 "삼성, LG 등 대기업들은 물류비용 등을 따지며 세율이 낮은 다른 거점의 생산을 늘리는 식으로 조정하면서 활로를 모색하겠지만 베트남 현지에 나와있는 중소 기업들로선 난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전했다.

지난해 중국·유럽연합(EU)·멕시코에 이어 4번째로 큰 1235억 달러(약 181조원)의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한 베트남은 트럼프 행정부의 표적이 될 것이란 우려를 받아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줄곧 베트남을 '악랄한 무역 남용국'이라고 비판해오기도 했다.

임기 초반 중국과 멕시코를 직접 겨냥한 트럼프의 공세에서 비껴난 베트남은 액화천연가스(LNG)·농산물 등 미국산 상품 구매 확대와 대미 관세 인하 등 무역 흑자를 줄이는 '무역 균형' 정책 추진 등으로 트럼프 행정부에 구애를 펼쳐왔다.

지난달 중순에는 응우옌 홍 지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이 미국을 찾아 미국의 LNG·가스발전소 장비 등을 구매하는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후 베트남 정부는 지난달 말 미국산 LNG·자동차·에탄올에 대한 관세를 각각 낮추고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 베트남 진출도 허가했다. 하지만 결국 전 세계를 상대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