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농축산물가 전년比 0.4%↑… 농식품부 “산불로 인한 수급불안 대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1087

글자크기

닫기

세종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04. 02. 11:31

2일 농식품 물가동향 및 대응계획 등 발표
농산물 전년比 1.1%↓… 과일·시설채소 안정
축산·가공·외식 등 물가 일제히 '오름세' 감지
산불 피해 '과수' 집중… "묘목 등 적극 지원"
250402 브리핑5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대변인이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농식품 물가동향 및 대응계획'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올해 3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을 제외한 축산·가공·외식물가의 경우 일제히 오름세를 보였다.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대변인은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농식품 물가동향 및 대응계획'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농산물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1.1% 하락했다. 과일류와 시설채소류 가격 안정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전 대변인은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8개월 연속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지난해 가격이 높았던 사과, 대파, 토마토, 감 등 품목이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배추·무·양배추·당근 등 일부 품목은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전 대변인은 "배추, 무, 양배추, 당근은 정식기인 지난해 8~9월 고온과 생육기인 겨울철 대설·한파 등으로 생육이 부진해 생산량이 감소했다"며 "이달에도 가격은 다소 높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배추, 무, 양배추, 당근 등 공급 부족 완화를 위해 할당관세 적용으로 민간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며 "배추, 무는 정부 직접 수입을 통한 공급도 추진 중"이라고 부연했다.

농식품부는 배추·무·양배추·당근을 비롯해 대체 소비가 가능한 열무·얼갈이까지 포함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등에서 최대 40% 할인지원도 진행하고 있다.

양파의 경우 2024년산 물량 저장 중 부패 등으로 감모율이 늘어나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저율관세할당(TRQ) 물량 2만645톤(t) 전량을 이달 초까지 도입·공급하고, 국내산 비축물량 1130t도 시장에 풀 계획이다.

축산물은 돼지고기가 지난해보다 높은 가격을 보이면서 전년 동월 대비 3.1% 올랐다. 육가공 원료로 사용되는 수입산 가격이 환율 등 영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대체제인 국내산 뒷다리살 등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이다.

농식품부는 한돈 자조금을 활용한 할인행사 등을 통해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고, 돼지고기 재고량을 정확히 파악해 축산물수급조절협의회를 통한 가공용 원료육 할당관세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계란도 제빵, 제과 등 식품 가격 안정을 위해 계란가공품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을 검토한다.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올랐다. 원재료 가격, 환율, 인건비 상승 등이 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코코아·커피 등 식품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품목을 확대 기존 13개에서 19개로 확대하고, 일부 품목 수입부가치세 면세 등 세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밀·코코아·커피·유지류 등 식품소재 구입자금 지원 등을 통해 업계의 경영 부담도 경감한다.

외식 물가도 지난해보다 3% 올랐다. 식재료비·인건비·임차료·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농식품부는 외식업체 외국인 근로자 도입을 확대하고, 공공배달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포탈을 구축해 민간배달앱과 경쟁을 촉진하는 등 업계의 부담을 완화해 나간다.

아울러 최근 발생한 산불로 인한 농축산물 수급불안 우려에 대해서는 오는 15일까지 피해조사를 추진해 적절히 대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전 대변인은 "이번 대형산불이 발생한 지역은 봄배추, 마늘, 건고추, 사과, 자두 등 주산지"라며 "일부 품목은 수급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신속한 피해조사와 영향 분석 등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사과 피해 신고 면적이 3000㏊가량 접수됐다"며 "직접 불에 탄 피해를 제외하고 열기로 인한 간접 피해 면적의 경우 (사과나무 꽃) 개화가 실제 이뤄지는 상황을 봐야 수급에 미칠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고 전했다.

농식품부는 산불 피해를 입은 농업인의 생활안정과 신속한 영농복귀를 위해 농기가재 및 복구비 지원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 대변인은 "(산불 피해로) 농산물 수급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면 선제적인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며 "사과 등 과수재배단지는 과원 정비와 신규 조성을 위한 시설 및 묘목 지원방안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