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악재 덮쳐” “우려 과도”… 삼성 ‘연말 성적’ 최대 1.6조 편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18010010149

글자크기

닫기

최지현 기자

승인 : 2024. 12. 17. 17:55

증권사별 4분기 전망 들쑥날쑥
8조부터 9조6000억원 '큰 격차'
3분기엔 기대보다 한참 밑돌아
내년 위기돌파 전략 논의 집중

삼성전자의 4분기 실적 윤곽이 20여일 후에 나온다. 내년 1월 초 2024년 4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발표할 전망이다. 4분기 실적 전망에 대한 편차는 크다. 증권가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많게는 9조6000억원, 적게는 8조원으로 제각각이다. 편차만 1조6000억원이다. 현시점에서 삼성전자 실적을 가늠하기엔 너무도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큰 방향성은 '4분기 실적은 물론 내년 전망도 밝지 않다'는 쪽으로 쏠리는 분위기다.

아시아투데이가 17일 현재까지 나온 증권사 7곳의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8조~9조6000억원 사이로 파악됐다. NH투자증권이 9조6000억원으로 가장 높은 전망치를 제시했고, BNK투자증권이 8조원으로 가장 보수적인 전망치를 내놨다. 다올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미래에셋증권, SK증권 등은 8조~9조원 사이 영업이익 달성을 예측했다. NH투자증권을 제외한 대부분 증권사가 지난 3분기(9조1834억원) 대비 4분기 수익성이 부진할 것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증권사별 4분기 전망 편차가 큰 건 삼성전자를 둘러싼 불확실성 때문이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대내외적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이를 기업 상황에 반영하는 방식이 증권사마다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경쟁력에 대한 평가에 더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 국내 정치 불안, 원화 약세 등 반영해야 할 변수가 너무도 많다는 얘기다.

앞서 3분기에도 삼성전자 실적 전망치는 증권사마다 천차만별이었다. 삼성전자가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하기 전날인 지난 10월 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13조5000억원이었다.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10조원을 웃돈 전망치를 내놨다. 하지만 최종 공개된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9조2000억원으로 10조원을 밑돌면서 시장 전망치보다 4조3000억원 가량 차이가 났다.
4분기 삼성전자 실적에 대한 편차가 크지만, "분위기가 좋지 않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삼성전자와 반도체 산업 관련 상황이 좋지 않아서다. 우선, 최근 중국 메모리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범용 D램의 공급 과잉현상이 발생하면서 D램 가격이 넉달 만에 35.7%나 하락했다. 삼성전자가 HBM(고대역폭 메모리) 대형 고객사 확보 소식을 아직 발표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실적 전망을 어둡게 보는 이유 중 하나다. 외신 등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HBM3E 엔비디아 공급은 내년 1분기로 미뤄질 것으로 전해진다.

일각에선 이같은 우려가 과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HBM 공급 지연, 중국 경쟁사 진입 등 삼성전자에 대한 인식이 시장에 과도하게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북미 고객사 입장에서는 HBM3E 8단에 대한 공급사 다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삼성전자의 4분기 HBM 매출은 전 분기 대비 47% 늘어나고 내년에도 전년 대비 26.8%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가격 하락에 대해 "하반기가 되면 고객사들의 연말 구매가 몰린다"며 "상저하고 효과로 단가 하락의 영향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부터 사흘간 본사 경영진과 해외 법인장 등 약 300명에 달하는 주요 임원을 한데 모아 '글로벌 전략회의'를 연다. 최근 인사와 조직개편을 마무리한 삼성전자의 글로벌 주요 임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내년 사업 전략 논의에 나서는 자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장기 사업 목표보다는 당장 내년의 전략을 세우는 자리"라며 "최근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관련 논의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지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