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근혜 대통령, 이란 방문 “우방 이상 경제 성과, 북한에 큰 압박” 전문가 평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4.asiatoday.co.kr/kn/view.php?key=20160503010001924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6. 05. 03. 19:34

이희수 교수 "52조원 경제 파급효과 위해선 전혀 다른 대이란 인식 전환 화급"...정영태 교수 "북한, 핵개발 안보·경제 오히려 고립만 자초"...서정민 교수 "껄끄러운 관계 해소, 다방면·다각적 협력 가능 국가"
정상회담하는 한-이란
박근혜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 대통령궁에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첫 한·이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37년 간의 불편한 관계를 딛고 수십년 간 다져 왔던 우방 이상의 경제적 성과를 낸 것으로 아주 획기적 일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1~3일(현지시간) 이란 국빈 방문 성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높게 평가했다. 1979년 이란이 미국과 외교적으로 단절되면서 사실상 한국과도 40년 가까이 경제·외교적 단절 상태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한국 정상으로는 처음 이번 박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이젠 적대적 관계를 종식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게 됐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52조 원이라는 엄청난 이번 박 대통령의 역대 최대 경제 외교 성과를 실제 미래 지속 가능한 파급 효과로 일궈 내기 위해서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이란에 대한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동전문가인 이희수 한양대 교수(문화인류학과)는 3일 아시아투데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한국이 미국의 경제 제재에 적극 동참해 왔던 나라로서 이란이 상당히 거부감을 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 국민들이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폭발적인 친한(親韓) 분위기에 힘 입어 과거 37년 간의 불편한 관계를 딛고 수십년 간 다져 왔던 우방 이상의 경제적 성과를 낸 것으로 아주 획기적 일”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이 교수는 “이란이 한국과 좋은 관계의 시장이었다면 이번 방문 성과가 당연하다고 할 수 있지만 사실 한국은 이란 제재에 적극 동참해 왔다”면서 “이란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비판적 입장을 국제사회에서 견지해 왔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그러했던 한국이 이번 정상의 방문으로 모든 적대적이거나 불편한 관계를 종식시키고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 교수는 “그 배경에는 한국과 페르시아 간 오랜 역사적 교류에 더해 이란 국민들이 한국에 대해 갖고 있었던 한국 선호의 폭발적 열기가 뒷받침됐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52조 원이라는 어마 어마한 경제적 효과를 미래 지속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인식의 틀인 고객 중심으로 이란 역사와 문화를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이 교수는 “이제 이란에 대해 친시장적 입장에서 들여다 보는 노력과 인식의 전환이 같이 따라 줘야 이번의 경제적 성과의 파급 효과를 올릴 수 있다”면서 “단순히 경제적 이익만 취하겠다는 그런 비즈니스 철학만으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번에도 분명히 드러났다”고 조언했다.

또 이 교수는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박 대통령의 행보와 관련해 “대북제재의 국제 공조를 강화하는 시점에서 북한의 가장 강력한 우방인 이란을 한국 편으로 끌어 들이고 북한에 대한 압박은 물론 더 나아가 북한의 고립을 가져다 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정영태 동양대 교수(통일연구원 명예 연구위원)는 “이란은 핵개발을 하다가 미국과 협상을 통해 결국 핵 개발을 포기하고 경제적 발전을 이룩해 나가는 케이스로 북한에 주는 의미가 상당히 큰 것 같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동시에 북한과 이란 관계에 있어 이제는 이란이 소위 핵을 개발하는 협력적 관계에서 벗어나 북한에 핵개발 자체가 안보에 도움이 안 된다는 입장을 전달하거나 오히려 한국에 쏠리는 상황이 됐다”고 진단했다.

정 교수는 “이란이 북한의 지원 세력 보다는 오히려 견제 세력이 됐다”면서 “국제사회에서 친(親)북한 우호세력이 자꾸 하나씩 사라짐으로써 북한에는 적지 않은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정 교수는 “경제적 군사적으로 지원했던 이란과의 협력관계의 고리가 끊어짐에 따라 북한이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섬나라’로 고립될 수가 있다”면서 “핵 개발을 하게 되면 결국 안보도 보장하지 못하고 경제 개발에도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는 것으로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진단했다.

서정민 한국외대 교수(국제지역대학원)는 “사실 한국은 이란의 핵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나 국제사회의 표결이 있을 때마다 이란의 반대 편에 섰다”면서 “그러한 불편한 관계를 풀고 최소화하는 하나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서 교수는 “지금 중동 국가 중에서도 한국이 외교적으로 약간은 껄끄러운 관계에 있는 나라가 바로 이란”이라고 말했다.

또 서 교수는 “어쨌든 현재 중동에서 북한과 협력이 적극적이고 잘 되고 있는 나라가 이란”이라면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 북한을 압박해야 하는 한국으로서는 이란과의 정치 외교적 협력관계 구축이 굉장히 중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서 교수는 “박 대통령이 이란을 방문한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문제”라면서 “이란은 한마디로 기존 중동 국가들과는 차원이 다른 협력을 할 수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고 평가했다.

서 교수는 “예전에 중동은 한국이 원유를 수입하고 건설 플랜트 시장에 진출하며 상품 수출 정도를 했지만 이란은 다각적인 협력이 가능한 나라”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이란은 시장 규모가 워낙 크고 더 중요한 것은 제조업 수준도 다른 중동 국가보다 우위에 있다”면서 “한국이 제조업 협력도 할 수 있고 이란이 농업도 발달했기 때문에 농업 협력도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서 교수는 “이란은 다른 중동 국가와 달리 수력 발전이 전체 전력 생산의 2%를 차지하고 있어 수력 발전소도 있고 댐들도 있어 수력 관련 협력도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서 교수는 “이란은 8000만 명 인구를 먹여 살려야 한다”면서 “석유와 가스로 국민들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경제 구조를 가질 수가 없을 정도로 인구가 워낙 많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서 교수는 “이란이 산업을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한국의 그동안 산업 발전 경험과 기술 협력을 다각적이고 다방면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하고 차별성을 갖고 있는 중동 국가”라고 말했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